서브메뉴

본문

통일문제와 정치 사회적 갈등 (1953-1961)
통일문제와 정치 사회적 갈등 (1953-1961)
저자 : 홍석률
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01
ISBN : 8952102967

책소개




분단은 남과 북을 양단하고 있는 휴전선에만 있는 것은 아니라, 우리 사회에는 이념과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집단 사이에 뿌리깊은 불신과 갈등이 있다. 통일은 현실적으로 한국사회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 올 것이기 때문에, 통일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치·사회적 갈등을 조절해 나가면서 무력적이고 폭력적인 대결로 가는 것을 방지하고, 분단극복을 위한 내부의 합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한국전쟁의 종결시점인 1953년부터 4·19시기까지 전개된 통일운동을 다루면서 한국의 다양한 정치·사회집단 사이의 분단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로 말미암은 정치·사회적 갈등의 전개양상을 규명하고 있다.

목차


책 머리에/iii

서 론
1. 분단문제를 보는 관점
2. 연구의 방법론과 자료

제1장 1950년대의 무력·평화 통일논의
1. 이승만 정권의 북진통일론
1) 북진통일론의 형성과 남한의 정치와 외교
2) 북진통일론의 성격과 이승만 정권의 해외파병계획
3) 북진통일론의 퇴조
2. 진보당(進步黨)의 평화통일론
1) 평화통일론 주장과 1956년 대통령 선거
2) 평화통일론의 내용과 성격
3. 민주당(民主黨)의 ‘화전양양론’(和戰兩樣論)
1) ‘화전양양론’의 대두 배경과 성격
2) ‘유엔 감시하 남북한 총선거론’과 자유당과의 갈등
소결: ‘반공존론’(反共存論), ‘평화적 공존론’(平和的 共存論),
‘적대적 공존론’(敵對的 共存論)

제2장 4·19 시기 통일논의와 정치·사회적 갈등의 전개
1. 통일논의의 활성화 요인
1) 국내 정치환경의 변화와 민간 통일논의의 확산
2) ‘공존’(共存)의 정착과 제3세계 국가의 성장
3) 북한의 통일공세와 남북 교류·협력 제안
2. 민간 통일운동의 분출
1) 학생 ‘민족통일연맹’과 남북 학생회담 제안
2) 혁신정당과 사회단체의 통일운동
3) ‘민족자주통일협의회’(民族自主統一協議會)의 조직과 활동
3. 보수세력의 민간 통일운동에 대한 대응
1) 민주당 정권의 통일정책
2) 신민당(新民黨)의 제한적 남북 교류론을 둘러싼 내분
소결: 민간 통일운동과 사회적 양극화 문제

제3장 4·19 시기 통일론의 유형과 성격분석
1. 유엔 감시하 남북 총선거론
1) 유엔의 판도변화와 통일방안의 혼선
2) 선건설 후통일론
2. 중립화 통일론
1) 중립화 통일론의 연원
2) 중립화 통일의 내용과 방법론
3) 영세중립국가의 건설과 민주사회주의
3. 남북 협상론
1) 반외세 남북 협상 결정론
2) ‘민족혁명’을 통한 분단해소
소결: 4·19 시기 통일논의의 역사적 의미

제4장 5·16 쿠데타의 원인
1. 4·19 직후 한국사회의 안정성
1) 4·19 직후 한국 정부의 반전복(反顚覆) 활동능력의 강화
2) 미국 외교관료집단의 통일운동과 한국사회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
2. 한국군의 동향과 미국 군부와 장면 정권의 갈등
1) 소장파의 ‘정군운동’(整軍運動)과 한미 갈등
2) 장면 정권과 미국 군부의 갈등
3. 한국 위기론과 5·16 쿠데타의 발발
1) 쿠데타 직전 팔리 소동과 한국 위기론
2) 쿠데타의 발발과 미국의 불개입정책
소결: 5·16 쿠데타의 발생요인과 통일운동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