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군중심리학
군중심리학
저자 : 귀스타브 르 봉
출판사 : 책세상
출판년 : 2014
ISBN : 9788970138961

책소개


‘군중’의 존재에 주목하여 대중사회를 예견한 사회심리학의 고전
―군중의 행동을 지배하는 원리는 무엇이고 그들을 인도하는 리더십은 어떠해야 하는가

비극적인 사건사고와 민감한 이슈로 점철되었던 2014년. 올해는 그 어느 해보다 군중심리가 변화무쌍하게 요동친 해로도 기록될 듯하다. 세월호 침몰 및 연이은 항공기 추락, 에볼라 바이러스 창궐, 군대에서 벌어진 구타 사망과 총기 난사 등 충격적인 일들이 끊임없이 일어남에 따라 경악과 슬픔, 분노, 무력감 등이 마치 전염되듯 사회 전체로 퍼져 나갔다. 집단적 감정의 파고가 휘몰아치는 가운데, 인터넷과 SNS를 통한 여론의 확산은 때로는 잘못된 정보로 진실을 호도하기도 하고, 때로는 사회의 모순에 맞서 시대의 과제를 제기하는 창구가 되기도 했다. 집단 여론이 특정 세력에 유리하거나 불리하게끔 편향·왜곡되는 일도 일어나지만, 그렇게 왜곡된 여론을 바로잡아 다수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도 하는 것이다. 선동과 흑색선전에 무비판적으로 휩쓸리는 우중(愚衆)도, 사회의 타락을 막는 현명한 공중(公衆)도 모두 ‘우리’의 모습이다. 개인들이 모여 형성된 집단인 ‘군중’의 의견이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위력을 떨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군중의 힘에 일찍이 주목하고, 군중을 하나의 연구 대상으로 삼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한 이가 프랑스의 사상가 귀스타브 르봉이다. 혁명과 쿠데타, 왕정복고와 전쟁이 번갈아 일어나며 혼란이 계속되던 19세기를 관통해온 르봉은 파리 코뮌과 드레퓌스 사건 등에서 나타난 집단행동과 폭력에 관심을 가지면서 군중의 힘을 인식하고 새로운 사회의 탄생을 직감했다. 군중을 비이성적이고 충동적인 존재로 본 르봉은 이성보다는 비합리성에, 의식보다는 무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군중이란 어떤 존재인지, 군중의 행동을 지배하는 원리는 무엇이고 그들을 인도하는 리더십은 무엇인지 냉철하게 고찰한 결과를 담아《군중심리학》을 발표했다. 그의 분석은 노동·민중 계급의 집단적 힘의 중요성을 현실로 인정하고, 새롭게 등장한 대중사회의 사회·정치·문화적 구조 변화가 빚어낸 문제들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당시 프랑스의 중간 계급과 지도층에 새로운 통치 방식을 제시했다. 이 책은 군중심리에 따른 여론의 변화와 왜곡이 격심한 지금 읽어도 여전히 유효한 사회심리학의 고전으로, 집단 속 개인들의 감정과 무의식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집단심리학과 정신분석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책세상문고·고전의세계 87번째 책으로 선보이는《군중심리학》은 완역본으로,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유럽 사회사상을 중점적으로 연구해온 역자의 지식과 성찰이 담긴 충실한 주와 해제를 수록하여 보다 깊은 이해를 돕는다. 특히 르봉이 살았던 시대의 지성사적 맥락과 사회학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집필된 해제는《군중심리학》의 정치심리학적·역사철학적 함의를 독자에게 잘 전달하고 있다. 19세기 말부터 사회학자들이 주목해온 대중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한 이 책은 그 어느 때보다 군중 및 군중심리가 위력을 발휘하는 지금, 우리 사회의 현상과 본질을 섬세하게 이해하고 새로운 리더십과 시대정신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 민문홍

머리말

서론-군중의 시대

제1부 군중의 정신
제1장 군중의 일반적 특성―그들의 정신적 통일성에 대한 심리학적 법칙
제2장 군중의 감정과 도덕성
제3장 군중의 사상, 이성적 사고 능력, 상상력
제4장 군중의 모든 신념이 보여주는 종교적 형태들

제2부 군중의 여론과 신념
제1장 군중의 신념과 여론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 요인들
제2장 군중의 여론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 요인들
제3장 군중의 지도자들과 그들의 설득 수단
제4장 군중의 신념과 여론 변화의 한계

제3부 군중의 다양한 범주의 분류와 묘사
제1장 군중의 분류
제2장 범죄적이라고 일컬어지는 군중
제3장 중죄 재판소의 배심원
제4장 선거 군중
제5장 의회 군중

해제-어째서 21세기에 르봉을 다시 읽는가? | 민문홍